고택소개

서애 류성룡

선현의 정신과 우리 전통문화를 배우다.

서애 류성룡 영정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1542~160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산. 자는 이현, 호는 서애. 의성 사촌 출생으로 황해도 관찰사를 지낸 입암 류중영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진사 송은 김광수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으로 김성일과 동문수학했고 서로 친분이 두터웠다. 1564년 생원.진사가 되고 다음해 성균관에 들어가 수학한 뒤 1566년 별시문과에 급제했다. 1580년 부제학에 올랐고 대사간. 도승지를 거쳐 대사헌으로 승진하고 왕명으로 <황화집서> 를 찬진했다. 다시 부제학이 돼 <비변오책> 을 지어 올렸으며 그해 함경도관찰사에 특제됐지만 어머니의 병으로 사양하고 나아가지 않았으며 이어 대사성에 임명됐지만 역시 사양하다가 경상도 관찰사에 임명됐다. 다음해 예조판서로 동지경연춘추관사. 제학을 겸했고 왕명으로 <정충록발> 을 지었다. 정여립 모반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있게 되자 여러차례 벼슬을 사직했지만 왕이 허락하지 않자 소를 올려 자핵했다.

1590년 우의정으로 승진 광국공신 3등에 녹훈되고 풍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이해 정여립의 모반사건에 관련돼 죽게 된 최영경을 구제하려는 소를 초안했지만 올리지 못했다. 다음해 우의정으로 이조판서를 겸하고 이어 좌의정으로 승진하여 역시 이조판서를 겸했고 이해 건저문제로 서인 정철의 처벌이 논의될 때 동인 중의 온건파인 남인에 속해 같은 동인의 강경파인 북인의 이산해와 대립했다.

왜란이 있을 것을 대비해 권율과 이순신을 각각 의주목사와 전라도좌수사에 천거했고 경상우병사 조대곤을 이일로 교체할 것을 요청하는 한편 진관법을 예전대로 고칠 것을 청했다. 1592년 일본 사신이 우리 경내에 이르자, 선위사를 보랠 것을 청하였지만 허락하지 않아 일본사신은 그대로 돌아갔다. 그해 4월 판윤 신립과 군사에 관해 논의하며 일본의 침입에 따른 대책을 강구했다.

4월 13일 일본이 대거 침입하자 병조판서를 겸하고 군무를 총괄했다. 이어 영의정이 되어 왕을 호종, 평양에 이르러 나라를 그르쳤다는 반대파의 탄핵을 받고 면직됐다. 의주에 이르러 평안도 도체찰사가 되고 이듬해 명나라의 장수 이여송과 함께 평양성을 수복 그뒤 충청. 경상. 전라 삼도도체찰사가 돼 파주까지 진격했다. 그 뒤 이여송이 일본과 화의하려 하자 그에게 글을 보내 화의를 논하는 것은 나쁜 계획임을 역설했다. 또 군대양성과 절강기계를 본떠 화포등 각종 무기의 제조, 성곽의 수축을 건의해 군비확충에 노력했고 소금을 만들어 굶주리는 백성을 진휼할 것을 요청했다. 10월 선조를 호위하고 서울에 돌아와 훈련도감을 설치할 것을 요청해 설립했다. 명나라와 일본과의 화의가 진행되는 기간에도 군비보완을 위해 계속 노력했다.

1598년 명나라 경략 정응태가 조선이 일본과 연합해 명나라를 공격하려 한다고 본국에 무고한 사건이 일어나자, 이 사건의 진상을 변명하러 가지 않는다는 북인들의 탄핵(주화오국主和誤國)으로 관작을 삭탈당했다가 1600년에 복관됐지만 다시 벼슬을 하지 않고 은거했다.

도학,문장,덕행,글씨로 이름을 떨쳤고, 특히 영남유생들의 추앙을 받았다. 묘지는 안동시 풍산읍 수동 뒷산에 있다. 안동의 병산서원 빙계서원 남계서원 삼강서원 등에 제향됐다.

저서로는 <서애집> , <징비록> , <운암잡기> 등이 있고 편저로는 <황화집> , <문산집> , <포은집> , <퇴계집> , <퇴계선생연보> 등이 있다. 그런데 그의 저서에 대해 문인 정경세가 <서애행장> 에서 “평생지은 시문이 임진병화 때 없어졌으며 이제 문집 10권과 <영모록> <징비록> 등이 집에 보관돼 있다”고 한 것을 보면 대부분이 없어졌음을 알 수 잇다. 국보인 <징비록> 과 <서애집> 은 임진왜란 연구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다. 시호는 문충이다.